
비립종은 피부에 생기는 작고 흰색 또는 황색의 구진(좁쌀 형태의 돌기)으로, 주로 눈 주위나 뺨, 이마, 코 주변 등 얼굴에 자주 발생합니다. 각질이 피부 속에 갇혀 생기는 것으로, 여드름이나 감염성 질환과는 다르며 전염되지 않습니다. 통증 없이 발생하지만 미용상 고민이 될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 비립종의 가장 큰 특징은 작고 하얀 좁쌀 같은 돌기가 피부 표면에 솟아오르는 것입니다. 지름은 1~2mm 정도로 매우 작으며, 통증이나 가려움 없이 발생합니다. 보통은 눈 밑, 눈꺼풀, 뺨, 코 주변에 생기며 양쪽에 대칭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손으로 눌러도 쉽게 짜지지 않고 딱딱한 느낌을 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시간이 지나도 자연적으로 없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 외모에 민감한 사람들에게 스트레스를 줄 수..

피지낭종은 피부 아래 피지선이 막히면서 피지 성분이 피부 내에 고여 생기는 주머니 형태의 양성 종양입니다. 흔히 얼굴, 목, 등, 가슴, 생식기 주변 등 피지선이 많은 부위에 발생하며, 만졌을 때 동그랗고 말랑한 혹처럼 느껴집니다. 일반적으로 통증은 없지만 염증이 생기면 붓고 통증이 나타날 수 있어 관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주요 증상 피지낭종의 대표적인 증상은 피부 아래에 만져지는 작고 동그란 혹입니다. 대개는 통증 없이 천천히 자라며, 크기는 수 밀리미터에서 수 센티미터까지 다양할 수 있습니다. 피지선 분비물로 인해 발생하므로 피부 표면에서 중심부에 작은 구멍이 보일 수도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커지며, 염증이 생기면 붉어지고 통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고름이 차거나 곪는 경우에는 터지면서..

임파선염은 체내 면역 방어의 중심 역할을 하는 임파절(림프절)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합니다.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감염에 의해 유발되며,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에 국소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통증과 부기, 열감이 흔하며, 원인에 따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주요 증상 임파선염의 대표적인 증상은 임파절 부위의 부기와 통증입니다. 목 옆이나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에 단단한 혹처럼 만져지며, 누르면 아프고 붓기도 합니다. 염증 정도가 심하면 열이 나거나 전신 피로감, 근육통, 두통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급성인 경우에는 빠르게 붓고 열이 나며, 만성인 경우에는 부기가 서서히 생기고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피부가 붉어지거나 염증 부위가 고름을 동반할 경우에는 농양으로 발전한 상태일 수..

비문증은 눈앞에 날파리나 먼지, 실오라기 같은 그림자가 떠다니는 듯한 증상을 말합니다. 주로 밝은 배경을 볼 때 더 잘 느껴지며, 눈을 움직일 때 따라 움직입니다. 대부분 생리적인 노화현상이지만, 드물게 망막 질환의 초기 증상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증상이 갑자기 심해지거나 번개가 번쩍이는 듯한 광시증이 동반되면 반드시 안과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주요 증상 비문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눈앞에 떠다니는 점, 선, 그물망 같은 모양의 그림자입니다. 날파리처럼 보인다고 하여 '날파리증'이라고도 불리며, 움직이는 물체가 시야를 방해하거나 집중을 어렵게 만들기도 합니다. 증상은 밝은 곳에서 더 두드러지며, 특히 흰 벽이나 파란 하늘을 볼 때 더욱 잘 보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시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지만..

타석증은 침샘 또는 침샘관(唾液腺管)에 침이 굳어 결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침샘 내 무기질 성분이 침샘관에서 응집되어 돌처럼 형성되며, 주로 턱 밑의 악하선에 많이 발생합니다. 침의 흐름이 막혀 부종이나 통증을 유발하며, 음식 섭취 시 증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주요 증상 타석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음식물을 섭취할 때 침샘 부위의 통증과 부기입니다. 침샘관이 결석으로 막히면 침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해 침샘이 팽창하면서 불쾌감과 통증을 유발합니다. 특히 식사 중 침 분비가 증가할 때 증상이 심해지며, 결석이 감염으로 이어지면 발열이나 화농성 분비물, 심한 통증도 나타납니다. 만성적인 경우에는 얼굴 한쪽이 반복적으로 붓거나 눌렀을 때 딱딱한 감촉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초기에..

편도결석은 편도선의 작은 구멍(크립)에 음식물 찌꺼기, 점액, 세균 등이 뭉쳐 딱딱하게 굳은 덩어리로 형성된 것입니다. 크기는 작지만 고약한 입 냄새와 이물감, 인후 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어 생활에 불쾌감을 줍니다. 감염은 아니지만 반복적으로 생길 수 있으며, 평소 구강 위생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주요 증상 편도결석은 크기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대부분 작을 경우 자각 증상이 거의 없지만, 결석이 커지면 입 냄새(구취)가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구취는 세균에 의해 생성된 황화합물이 원인으로, 칫솔질이나 가글로도 제거되지 않습니다. 이 외에도 목 안쪽에서 뭔가 걸린 듯한 이물감이나 잦은 기침, 인후 불편감, 편도 부위의 누런 돌출물 등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결석이 심해지면 염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