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혈관 내 이물질이 혈관을 막는 증상 색전증 치료
혈관 내 이물질이 혈관을 막는 증상 색전증 치료

 

 

색전증은 혈관 내 이물질(혈전, 지방, 공기 등)이 혈류를 타고 이동하다 좁은 혈관을 막아 발생하는 질환으로, 폐, 뇌, 심장 등 주요 장기에 급성 손상을 일으킬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증상

 

색전증의 증상은 색전이 막는 혈관의 위치에 따라 다릅니다.

 

폐색전증의 경우 갑작스러운 호흡곤란, 흉통, 기침 시 혈담, 실신 등이 나타납니다. 뇌색전증은 일시적인 언어장애, 반신마비, 시야장애 등이 발생하며, 심장색전증은 심근경색과 유사한 흉통이나 심정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전신에 색전이 발생하면 다리 부종이나 청색증, 급격한 혈압 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증상이 갑작스럽고 위급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즉각적인 응급조치가 필요합니다.

색전 위치 대표 증상
폐색전증 호흡곤란, 흉통, 실신
뇌색전증 언어장애, 반신마비
심장색전증 흉통, 심정지
말초색전증 다리 통증, 청색증

 

원인

 

색전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나, 가장 흔한 원인은 혈전(피떡)입니다.

 

특히 장시간 움직이지 못하거나 수술, 출산, 암 치료 등으로 인해 혈전 생성 위험이 높아질 때 발생 빈도가 증가합니다. 이 외에도 지방색전(골절 후), 공기색전(수술 중), 양수색전(출산 중), 세균성 색전(감염성 심내막염) 등도 원인이 됩니다.

 

여성의 경우 경구 피임약 복용이나 호르몬 치료도 색전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원인 설명
혈전 심부정맥, 심장질환 후 발생
지방색전 장골 골절 등에서 발생
공기색전 중앙정맥삽입술 중 발생 가능
양수색전 출산 중 드물게 발생

 

치료방법

 

색전증 치료는 색전의 위치와 상태에 따라 다르며, 가장 기본적인 치료는 항응고제(혈액 응고 방지제) 투여입니다.

 

폐색전증이나 심부정맥혈전증의 경우 헤파린 또는 와파린 등의 약물을 사용하며, 응급 상황에서는 혈전용해제(tPA)나 색전 제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직접 경구용 항응고제(DOAC, 예: 엘리퀴스, 자렐토 등)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으며, 예방 차원에서 고위험 환자에게 압박스타킹, 조기 보행, 예방적 항응고제를 투여하기도 합니다.

치료 방법 적용 대상
항응고제 모든 색전증 기본 치료
혈전용해제 대규모 폐색전증 등 응급 시
수술적 제거 혈전 크기가 크거나 재발 위험 시
예방조치 입원환자, 수술 전후 등

 

생존율

 

색전증의 생존율은 색전의 위치와 치료 시점에 크게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폐색전증의 경우 조기 치료 시 5~10% 수준의 사망률을 보이지만, 치료가 지연되면 사망률은 30% 이상으로 높아질 수 있습니다.

 

뇌색전증(허혈성 뇌졸중)의 경우에는 후유증까지 고려해야 하며, 전체 환자의 약 20~30%가 기능장애를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고령, 암 환자, 심부정맥 혈전 병력이 있는 환자에서 예후가 나쁘므로 정기적인 검진과 예방이 중요합니다.

색전증 종류 5년 생존율/사망률
폐색전증 사망률 8~30%
뇌색전증 장애 발생률 20~30%
심장색전증 급사 위험 있음
예방 가능성 약물 치료로 80% 이상 예방 가능

 

심부정맥혈전증(DVT)

 

심부정맥혈전증(DVT)은 색전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로, 다리나 골반의 깊은 정맥에 혈전이 형성되는 질환입니다.

 

혈전이 움직여 폐로 이동하면 폐색전증으로 발전할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장시간 비행기 여행, 수술 후 회복기, 고령, 암 환자, 임산부에게서 주로 발생하며, 다리 부종, 통증, 열감 등이 주요 증상입니다.

 

진단은 도플러 초음파로 이루어지며, 치료는 항응고제를 기본으로 하며 심한 경우 혈전 제거술이 시행됩니다. 예방이 매우 중요하며, 병원에서는 압박 스타킹과 조기 보행을 권장합니다.

위험군 예방법
수술 환자, 장기 비행자 조기 보행, 수분 섭취
암 환자, 고령자 예방적 항응고제 투여
임산부 가벼운 운동, 정기검진

 

색전증은 예기치 않게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질환으로, 증상이 작게 시작되더라도 방치하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심부정맥혈전증 예방과 조기 진단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이며, 위험 요인이 있는 경우 전문의 상담과 정기 검진을 통해 사전에 대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