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수신증은 소변이 신장에서 제대로 배출되지 못해 신우(콩팥 깔때기)가 확장되는 질환입니다.
주로 요로 폐쇄나 역류로 인해 발생하며, 심할 경우 신장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증상
수신증은 초기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진행되면서 다양한 이상 증상이 나타납니다.
대표적으로 옆구리 통증, 복부 팽만감, 배뇨 시 통증, 혈뇨(소변에 피가 섞이는 현상)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소변량 감소나 빈뇨, 요로감염 증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심한 경우에는 발열, 오한, 구역질, 구토 등의 전신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신부전으로 진행되면 전신 부종과 극심한 피로감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없더라도 수신증이 신장 기능을 서서히 손상시킬 수 있어 주기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주요 증상 | 설명 |
---|---|
옆구리 통증 | 신장 주변 압박으로 발생 |
복부 팽만 | 소변 정체로 인한 부종 |
혈뇨 | 소변 내 혈액 혼합 |
발열 및 오한 | 감염 동반 시 나타남 |
📊 대한비뇨의학회: 수신증 환자의 약 60%가 옆구리 통증을 첫 증상으로 경험
원인
수신증은 소변 배출 경로의 물리적 폐쇄나 역류로 인해 발생합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요로결석입니다. 결석이 요로를 막으면 소변이 흐르지 못하고 신우가 확장됩니다. 그 외에도 요관 협착, 종양(방광암, 전립선암 등), 임신에 의한 압박, 신경인성 방광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선천적 요관 이상이나 요관-신우 이행부 협착도 소아 수신증의 주요 원인입니다. 원인에 따라 수신증의 치료 방향과 예후가 크게 달라지므로 정확한 원인 진단이 필수입니다.
주요 원인 | 설명 |
---|---|
요로결석 | 요관 막힘으로 인한 소변 정체 |
요관 협착 | 염증 또는 외상 후 발생 |
종양 | 방광암, 전립선암 등으로 요로 압박 |
선천성 이상 | 요관-신우 이행부 협착 |
📊 미국비뇨기과학회(AUA): 성인 수신증 환자의 45%는 요로결석이 원인
치료방법
수신증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요로결석이 원인일 경우 체외충격파쇄석술(ESWL)이나 내시경 시술을 통해 결석을 제거합니다. 요관 협착이나 종양이 원인이라면 스텐트 삽입술이나 수술적 절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소변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신장에 튜브(신루관, 신우배액관)를 삽입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감염이 동반된 경우 항생제 치료가 병행되며, 신기능 손상이 의심되면 신장 기능 보존을 위한 집중 관리가 필요합니다.
치료 방법 | 설명 |
---|---|
쇄석술(ESWL) | 요로결석 파쇄 및 제거 |
요관 스텐트 삽입 | 요관 확장 및 소변 배출 개선 |
신루관 삽입 | 신우배액을 통한 감압 |
항생제 치료 | 감염 동반 시 병행 |
📊 국내 대학병원 데이터: 수신증 환자의 70%가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
수술여부
수신증 치료에서 수술은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행됩니다.
경증 수신증이나 일시적인 요로 폐쇄는 약물치료나 시술로 해결될 수 있지만, 심한 요관 협착, 지속적인 소변 정체, 심각한 신장 기능 저하가 있는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합니다.
수술 방법은 원인에 따라 달라지며, 요관 성형술, 요관 재건술, 신우성형술 등이 있습니다. 또한 심각한 경우 기능이 소실된 신장을 제거하는 신절제술까지 고려할 수 있습니다. 조기 수술은 신장 보존에 유리합니다.
수술 필요성 | 설명 |
---|---|
요관 성형술 | 요관 협착 교정 |
요관 재건술 | 손상된 요관 복원 |
신우성형술 | 신우-요관 연결부 교정 |
신절제술 | 기능 소실 신장 제거 |
📊 대한비뇨기과학회: 중증 수신증 환자의 약 30%가 수술적 치료 필요
신장기능영향
수신증은 방치할 경우 신장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소변 배출 장애로 인해 신장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네프론(신장의 기본 단위) 손상이 진행되고, 결국 만성 신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양측 수신증은 신장 기능 저하 속도가 빠르며, 심한 경우 투석이나 신장이식을 필요로 할 수 있습니다.
경미한 수신증이라도 장기간 지속되면 신장 조직의 섬유화가 진행되므로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영향 | 설명 |
---|---|
신장 압력 상승 | 네프론 손상 촉진 |
만성 신부전 위험 | 장기적 신기능 저하 |
섬유화 진행 | 신장 조직 경직 및 기능 소실 |
투석 필요 가능성 | 말기 신질환 진행 시 |
📊 미국신장학회(ASN): 수신증 환자의 15%가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