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만성피로 저혈압 체중감소 어지러움 증상 에디슨병 치료
만성피로 저혈압 체중감소 어지러움 증상 에디슨병 치료

 

 

 

에디슨병은 부신피질의 기능 저하로 인해 코르티솔과 알도스테론 등 호르몬이 부족해지는 내분비 질환입니다.

 

만성 피로, 저혈압, 체중 감소 등을 유발하며 조기 진단과 꾸준한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

 

증상

 

에디슨병은 서서히 진행되며 초기 증상이 모호해 진단이 지연되기 쉽습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만성적인 피로감이며, 식욕 부진과 체중 감소, 어지러움, 저혈압, 메스꺼움, 구토 등이 함께 나타납니다. 특히 스트레스 상황이나 감염 시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부신피질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이 부족해지면서 전해질 불균형이 생기고, 피부와 점막이 검게 착색되는 ‘피부 색소 침착’도 주요 증상 중 하나입니다. 심한 경우 위기상황인 ‘에디슨 위기(Addisonian crisis)’로 발전할 수 있어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증상 설명
만성 피로 호르몬 부족으로 에너지 생성 저하
체중 감소 식욕 저하 및 흡수 장애
저혈압 알도스테론 결핍에 의한 혈압 저하
피부 색소 침착 ACTH 증가에 따른 멜라닌 자극

 

원인

 

에디슨병의 주요 원인은 자가면역 반응으로, 신체 면역체계가 자신의 부신을 공격해 부신피질 기능이 파괴됩니다.

 

이 외에도 결핵, 암의 전이, 감염, 외상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결핵이 주요 원인이었지만, 현재는 자가면역 질환이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특히 자가면역 갑상선염, 제1형 당뇨병, 자가면역 위염 등 다른 자가면역 질환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도 흔합니다. 이차성 부신기능저하증의 경우에는 뇌하수체 이상이나 장기간 스테로이드 복용이 원인이 됩니다.

원인 비율(예시)
자가면역 질환 약 70~80%
결핵 약 10~15% (개발도상국 중심)
암 전이 5% 이하
스테로이드 장기 복용 이차성 발생 위험 증가

 

치료방법

 

에디슨병의 치료는 평생 동안 부족한 부신 호르몬을 보충하는 약물 요법이 핵심입니다.

 

대표적인 약물은 코르티솔 대체를 위한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 플루드로코르티손(flodrocortisone, 알도스테론 대체)입니다. 환자는 스트레스, 감염, 수술 등 특별한 상황에서 약물 용량을 일시적으로 증가시켜야 하며, 스스로 조절하는 능력을 갖춰야 합니다.

 

또한, 충분한 수분 섭취와 염분 보충도 필수입니다. 치료를 중단하거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용량 조절이 실패하면 생명을 위협하는 ‘에디슨 위기’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진료와 교육이 필요합니다.

치료법 목적
하이드로코르티손 코르티솔 보충
플루드로코르티손 알도스테론 보충
염분 섭취 전해질 불균형 조절
용량 조절 교육 에디슨 위기 예방

 

진단

 

에디슨병의 진단은 혈액검사, 호르몬 검사, 자극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기본적으로 코르티솔 수치가 낮고 ACTH 수치가 높은 경우 일차성 부신기능저하증으로 판단합니다. ACTH 자극 검사를 통해 부신의 반응을 확인하며, 전해질 검사에서 나트륨 감소, 칼륨 증가가 동반되는 경우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자가면역 질환을 확인하기 위해 부신항체 검사, 흉부 엑스레이(결핵 확인), 복부 CT 촬영 등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진단 후에는 원인에 따라 추가 검사 및 치료 계획이 수립됩니다.

검사 항목 의미
코르티솔 수치 낮을 경우 부신기능저하 의심
ACTH 수치 높으면 1차성, 낮으면 2차성
ACTH 자극 검사 부신 반응 여부 확인
전해질 검사 저나트륨, 고칼륨 확인

 

쿠싱증후군과의 차이

 

에디슨병과 쿠싱증후군은 모두 부신호르몬과 관련된 내분비 질환이지만, 반대되는 메커니즘을 가집니다.

 

에디슨병은 부신기능이 저하되어 코르티솔이 부족한 상태인 반면, 쿠싱증후군은 코르티솔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상태입니다. 증상에서도 차이가 나타나는데, 에디슨병은 저혈압, 체중감소, 피부색소 침착 등이 나타납니다.

 

반면, 쿠싱증후군은 고혈압, 중심성 비만, 보랏빛 줄무늬(striae), 얼굴이 붓는 현상(달덩이 얼굴)이 특징입니다. 진단과 치료 방법 역시 정반대로 접근해야 하며, 전문적인 내분비 평가가 필요합니다.

항목 에디슨병 쿠싱증후군
코르티솔 상태 부족 과잉
혈압 낮음 높음
체중 감소 증가 (복부 중심)
피부 변화 색소 침착 보라색 줄무늬

 

 

에디슨병은 희귀하지만 조기 진단과 꾸준한 호르몬 대체 치료로 일상생활이 가능한 질환입니다.

 

증상이 애매하고 다른 질환과 혼동되기 쉬워 자가진단이 어려우므로, 만성 피로, 저혈압, 체중 감소 등 증상이 지속된다면 전문 내분비과에서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