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고지대에 오를때 저산소증 어지럼 구역질 고산병 치료
고지대에 오를때 저산소증 어지럼 구역질 고산병 치료

 

 

 

고산병은 해발 2,500m 이상의 고지대에 급격히 올라갈 때 발생하는 저산소증 증상군입니다.

 

두통, 구역질, 어지럼증이 흔하며, 심하면 폐부종이나 뇌부종으로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습니다.

 

증상

 

고산병은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산소농도가 낮아져 인체가 이에 적응하지 못해 발생합니다.

 

대표 증상은 두통, 구토, 무기력, 수면 장애이며, 심한 경우 혼란, 의식저하, 폐부종·뇌부종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증상은 보통 고지대 도착 후 6~12시간 이내에 시작되며, 서서히 나타나 하루 이상 지속됩니다.

 

증상이 심해지면 반드시 하산하거나 산소 공급이 필요합니다. 고산병은 방치 시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증상 악화 여부를 계속 관찰해야 합니다.

주요 증상 설명
두통 가장 흔한 초기 증상
무기력 걷기조차 힘든 피로감
구토/식욕부진 고도 증가에 따른 위장 기능 저하
수면장애 잠들기 어렵거나 자주 깸

📊 통계: 세계보건기구(WHO)는 해발 3,000m 이상 지역에서 체류하는 여행객의 약 25~40%가 고산병을 경험한다고 보고했습니다.

 

원인

 

고산병의 주된 원인은 고지대에서의 산소 농도 감소로 인해 신체가 충분히 적응하지 못하는 데 있습니다.

 

해발이 1,000m 상승할 때마다 기압과 산소농도는 약 10~12%씩 감소하며, 급격한 고도 상승은 인체의 산소 이용 효율을 떨어뜨려 뇌와 폐에 부담을 줍니다.

 

또한 과로, 수면 부족, 탈수, 과음 등도 발병 가능성을 높입니다. 개인 체질이나 유전적 요소에 따라 발병 민감도는 다르며, 적응 시간이 부족한 여행이나 등산에서 흔하게 발생합니다.

원인 내용
산소 부족 기압 감소로 체내 산소 포화도 하락
급격한 상승 하루 500m 이상 상승 시 위험 증가
탈수 및 과로 신체 적응력 저하
유전적 요인 개인차 있음

📊 통계: 미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해발 5,000m 이상에서 체내 산소포화도는 60% 이하로 급격히 떨어지며, 이때 뇌혈류 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치료방법

 

고산병 치료는 증상 경감과 저산소 환경에서 벗어나는 것이 핵심입니다.

 

가장 우선시 되는 조치는 하산이며, 경증일 경우 휴식과 수분 섭취, 진통제(이부프로펜 등)를 사용합니다. 중등도 이상일 경우 산소 공급, 다이아목스(acetazolamide) 같은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

 

고산뇌부종이나 폐부종이 의심될 경우 데사메타손 같은 스테로이드 치료와 함께 즉각적인 하산 또는 응급 이송이 권장됩니다. 예방보다 빠른 대응이 생명을 좌우합니다.

 

치료 방법 설명
하산 가장 효과적인 치료
산소 공급 휴대용 산소통 또는 병원 치료
약물 치료 다이아목스, 이부프로펜, 데사메타손
수액/휴식 탈수 예방 및 회복 지원

📊 통계: 국제고산의학학회(ISMM)는 경증 고산병의 85% 이상이 24~48시간 내 휴식과 보존적 치료로 회복되며, 심한 경우 하산 시 사망률이 0.1~1%까지 발생할 수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자가진단

 

고산병은 일상에서 겪기 어려운 증상들이 갑작스럽게 나타나기 때문에 자가진단이 중요합니다.

 

Lake Louise Score(레이크루이스 점수)를 활용하면 스스로 고산병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두통을 기본 기준으로 하며, 여기에 식욕부진, 어지럼증, 피로감, 수면장애 등이 더해지면 고산병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3점 이상이면 경증, 5점 이상이면 중등도 이상 고산병으로 분류됩니다.

자가진단 항목 점수 (0~3점)
두통  
피로감  
식욕부진/구역감  
어지럼증  
수면장애  

📊 통계: ISMM 기준에 따르면, 레이크루이스 점수가 3점 이상인 사람 중 약 80%는 실제 고산병 진단을 받았습니다.

 

예방약

 

고산병 예방약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약물은 다이아목스(Acetazolamide)입니다.

 

이 약은 혈액의 산성도를 높여 호흡을 촉진시켜 저산소 상태에 적응을 도와줍니다. 예방 목적일 경우 고도 상승 1~2일 전부터 1일 2회 복용하며, 3,000m 이상 고도에서는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그 외 데사메타손(스테로이드), 이부프로펜 등도 증상 예방에 보조적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약물 복용 전에는 반드시 의사와 상담이 필요하며, 평소 고혈압, 녹내장, 심장 질환이 있는 경우 주의해야 합니다.

약물명 효능 비고
다이아목스 호흡 유도, 산소 적응 가장 널리 사용
데사메타손 뇌부종 예방 고위험군 사용
이부프로펜 두통 완화 보조적 치료
산소통 산소 공급 약물 외 물리적 방법

📊 통계: 다이아목스를 예방적으로 복용한 등반객의 65~75%가 고산병 발생을 피했으며, 심한 증상은 90% 이상 예방할 수 있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출처: 미국 CDC)

 

위험고도

 

고산병은 해발 2,500m 이상에서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며, 3,000m부터는 명확한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특히 4,000m 이상에서는 증상 발생률이 급증하며, 5,000m를 넘으면 거의 모든 사람이 어느 정도의 저산소 증상을 경험합니다. 고도 상승은 하루 300~500m 이하로 제한합니다.

 

일정 고도에서 하루 이상 정체하는 적응 기간이 필요합니다. 너무 빠른 상승은 폐부종·뇌부종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여행이나 등산 전 고도 계획이 매우 중요합니다.

고도 범위 위험 수준
2,500m 이하 낮음
2,500~3,000m 경고 시작
3,000~4,000m 중등도 위험
4,000m 이상 고위험

📊 통계: 히말라야·안데스 등지에서 3,500m 이상 등산객 중 약 40~50%가 고산병 증상을 경험하며, 4,500m 이상에서는 그 비율이 75%를 초과합니다. (출처: Wilderness Medical Society)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