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페스트는 예르시니아 페스티스(Yersinia pestis)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전염병으로, 중세 유럽을 강타한 흑사병의 원인이며, 치명률이 높아 조기 대응이 필수입니다.
증상
페스트는 형태에 따라 증상이 다르며, 대표적으로는 림프절 페스트, 폐 페스트, 패혈성 페스트로 구분됩니다.
림프절 페스트는 고열, 오한, 두통과 함께 겨드랑이나 사타구니 림프절이 붓고 통증이 생깁니다. 폐 페스트는 심한 기침과 흉통, 호흡 곤란을 유발하며, 패혈성 페스트는 혈액 감염으로 인한 전신 쇼크와 피부 괴사 증상이 동반됩니다.
조기에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으면 몇 시간 내에도 상태가 악화될 수 있어 증상 인지와 신속한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페스트 유형 | 주요 증상 |
---|---|
림프절형 | 고열, 림프절 부종 및 통증 |
폐형 | 기침, 흉통, 호흡 곤란 |
패혈형 | 쇼크, 피부 괴사, 전신 감염 |
📊 WHO: 림프절형 페스트가 전체 환자의 약 80%, 폐형은 10~20%, 패혈형은 5% 내외
전염경로
페스트는 주로 벼룩에 물려 전파되며, 감염된 설치류(특히 쥐)가 주요 매개체입니다.
벼룩은 감염된 동물의 혈액을 빨아먹은 뒤 사람을 물며 병원체를 옮깁니다. 폐 페스트의 경우 환자의 기침을 통해 공기 중으로 전염되므로, 감염자와 밀접 접촉 시 호흡기 감염이 가능해 전염성이 매우 높습니다.
드물게는 감염 동물과의 접촉 또는 병원균에 오염된 체액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전염경로의 특성상 빠른 격리와 접촉 차단이 중요합니다.
전염 경로 | 설명 |
---|---|
벼룩 매개 | 감염된 벼룩에 물려 전염 |
감염 동물 | 설치류(쥐 등)와 접촉 |
호흡기 전염 | 폐 페스트 환자의 기침을 통한 비말 감염 |
체액 접촉 | 감염자의 혈액, 분비물 접촉 시 |
📊 CDC: 최근 보고된 폐 페스트 환자 중 약 30%는 사람 간 비말 전염으로 감염
치료방법
페스트는 세균성 질환으로, 조기에 항생제를 투여하면 완치가 가능합니다.
대표적인 치료 항생제로는 스트렙토마이신, 겐타마이신, 독시사이클린, 시프로플록사신 등이 사용됩니다. 치료는 가능한 한 빠르게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폐 페스트와 패혈형 페스트는 조기 항생제 투여가 생존율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중증 환자는 격리 및 집중 치료가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 산소 공급, 수액, 해열제 등 보조 치료도 병행됩니다.
치료제 | 적용 |
---|---|
스트렙토마이신 | 림프절·폐 페스트에 효과적 |
독시사이클린 | 경구용, 예방적 투약에도 사용 |
시프로플록사신 | 다양한 세균에 광범위하게 작용 |
보조 치료 | 산소 공급, 해열제, 수액 등 |
📊 미국 NIH: 항생제 치료 시 림프절형 페스트 생존율 95% 이상
예방방법
페스트 예방을 위해서는 감염 동물 및 벼룩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유행 지역에서는 쥐나 벼룩이 접근하지 않도록 위생 상태를 철저히 관리해야 하며, 설치류 퇴치 및 벼룩 방제 작업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합니다.
감염자와의 접촉을 피하고, 필요한 경우 예방 항생제 복용도 고려됩니다. 또한 고위험 지역에 장기 체류 시에는 예방접종이 권장되기도 합니다. 의료진은 감염 의심자 진료 시 보호장비를 착용해야 전파를 막을 수 있습니다.
예방 방법 | 설명 |
---|---|
위생관리 | 설치류 접근 차단, 주거지 청결 유지 |
벼룩 방제 | 모기약, 살충제 사용 |
예방 항생제 | 노출 시 조기 투약 |
보호장비 착용 | 의료진 및 보호자 마스크, 장갑 사용 |
📊 WHO: 위생관리 및 벼룩 통제만으로도 페스트 발생률 70% 이상 감소
잠복기
페스트의 잠복기는 전염 경로 및 형태에 따라 1~7일 사이입니다.
림프절형의 경우 감염된 벼룩에 물린 후 약 2~6일 내에 증상이 나타나며, 폐 페스트는 전염성이 강하고 잠복기가 짧아 1~3일 이내에 급격한 증상이 시작됩니다.
패혈성 페스트는 다른 형태에서 이차적으로 발생하거나 혈류로 직접 감염되며, 잠복기보다 발병 후의 진행 속도가 빠릅니다. 잠복기 동안 전염력이 없지만, 폐 페스트는 증상 시작 직후부터 강한 전파력을 보입니다.
페스트 유형 | 잠복기 |
---|---|
림프절형 | 2~6일 |
폐형 | 1~3일 |
패혈형 | 대개 림프절형에서 진행 |
전염력 | 폐형은 증상 발현 즉시 전염 가능 |
📊 질병관리청: 폐 페스트의 평균 잠복기는 2.3일, 림프절형은 4.1일로 보고됨
치사율
페스트의 치사율은 형태 및 치료 시기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림프절형은 항생제 치료 시 5% 미만의 치사율을 보이나, 치료가 지연되면 40%까지 상승합니다. 폐 페스트는 치료하지 않으면 100%에 가까운 사망률을 기록할 수 있으며, 치료를 받더라도 10~20% 수준입니다.
패혈형 페스트는 가장 위험한 형태로, 치료 없이 90% 이상의 치사율을 나타냅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생존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유형 | 치료 전 | 치료 후 |
---|---|---|
림프절형 | 40% | 5% 미만 |
폐형 | 90~100% | 10~20% |
패혈형 | 90% 이상 | 약 30% |
📊 CDC: 페스트 환자의 전반적인 평균 치사율은 치료 시 약 11%, 미치료 시 60% 이상
- Total
- Today
- Yesterday
- 증상
- 피로감
- 비뇨기과질환
- 눈충혈
- 부종
- 골반통증
- 소변통증
- 염색체이상
- 성병
- 희귀질환
- 경련
- 고열
- 두통
- 기침
- 설사
- 복통
- 치료
- 구토
- 비뇨기과상담
- 황달
- 손발저림
- 정신건강
- 호흡곤란
- 자가면역질환
- 가슴통증
- 유전질환
- 발열
- 하복부통증
- 목통증
- 어지럼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