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개요: 장중첩증은 장관의 한 부분이 인접한 다른 부분 안으로 말려 들어가 장폐색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주로 소아에서 발생하며 급성 복통과 구토를 동반해 응급치료가 필요합니다.
증상
장중첩증의 대표적 증상은 갑작스러운 복통과 복부 경련으로 시작됩니다.
소아는 복통이 심해 무기력해지고, 무릎을 가슴 쪽으로 당긴 자세를 취하기도 합니다. 반복적인 구토와 혈액이 섞인 점액성 설사(“젤리 같은 혈변”)가 특징적이며, 배가 부풀어 오르고 촉진 시 덩어리가 만져질 수 있습니다.
방치 시 장 괴사와 천공으로 진행되어 복막염과 패혈증 위험이 높아집니다.
증상 | 세부 내용 | 발생 빈도(%) |
---|---|---|
복통 | 경련성 통증 | 90 |
구토 | 반복적 구토 | 85 |
혈변 | 젤리 같은 혈변 | 50 |
📊 소아 환자 조사: 복통 90%, 구토 85%, 혈변 50%
원인
소아의 장중첩증은 대개 특발성이지만, 장간막 림프조직 과증식(페이어 팩), 장 폴립, 종양, 장 유착 등이 기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 감염 후 장 점막이 붓고 림프선이 커지면 인접 장관이 말려 들어가게 됩니다. 성인의 경우 종양, 게실, 염증성 장질환이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원인 분류 | 세부 요인 | 비율(%) |
---|---|---|
특발성 | 원인 불명 | 70 |
림프조직 과증식 | 바이러스 후 | 20 |
구조적 이상 | 폴립·종양 | 10 |
📊 원인별 분포: 특발성 70%, 림프조직 과증식 20%, 구조적 이상 10%
치료
비수술적 치료로 공기 관장(에어 엔라마)이나 바륨 관장을 통해 중첩 부위를 펴주는 방법이 80~90% 성공률을 보입니다.
수액 보충과 금식, 통증 조절을 병행하며, 실패 시 외과적 정복술이 필요합니다. 치료 후 장 기능 회복을 위해 천천히 먹이를 재개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관찰이 중요합니다.
치료법 | 방법 | 성공률(%) |
---|---|---|
공기 관장 | 에어 엔라마 | 85 |
바륨 관장 | 바륨 용액 주입 | 80 |
수술 | 외과적 정복술 | 95 |
📊 치료 선택별 성공률
수술
비수술적 방법이 실패하거나 괴사·천공 소견이 있으면 즉시 개복 또는 복강경 수술로 중첩 부위를 정상 위치로 돌려놓고, 괴사 부위는 절제해야 합니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 장 유착과 장마비가 발생할 수 있어, 조기 보행과 장 기능 자극 관리를 시행합니다.
수술 유형 | 설명 | 합병증률(%) |
---|---|---|
개복 정복술 | 직접 중첩 해제 | 10 |
복강경 정복술 | 최소침습 중첩 해제 | 5 |
📊 수술 합병증률
초음파
복부 초음파는 장중첩증 진단의 핵심 도구로, 도넛 모양 및 목표징후(“타겟 징후”)를 보이며, 비침습적이고 즉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빨리 진단할수록 비수술적 치료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추가로 Doppler 초음파로 혈류를 평가해 괴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초음파 소견 | 의미 | 검출율(%) |
---|---|---|
타겟 징후 | 중첩 단면 | 95 |
도넛 징후 | 축단 단면 | 90 |
혈류 저하 | 괴사 의심 | 30 |
📊 초음파 진단 소견 검출율
영아
영아는 장중첩증 발생률이 높고, 증상이 비특이적이어서 진단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울음이 심하고 구토, 혈변, 복부 팽만이 관찰되며, 탈수와 저체온증 위험이 있어 즉시 응급 처치가 필요합니다.
특히 6개월 미만 영아에서 심각도가 높아, 보호자는 혈변 출현 시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야 합니다.
영아 특징 | 내용 | 발생 빈도(%) |
---|---|---|
혈변 | 젤리 같은 혈변 | 60 |
구토 | 초기 반복 구토 | 80 |
복부 팽만 | 눈에 띄는 팽만 | 50 |
📊 영아 증상 빈도